발행일자 :
2023-03-07 11:19
유틸메뉴
lock_outline
perm_identity
search
검색
메인메뉴
펼침메뉴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메뉴를 클릭 해 주세요
매거진 토마토
전체
사람
공간
기록
대전문화정보
문화정보
토마토와 함께
인포메이션
회사소개
매거진 토마토 소개
연혁
문화예술 나눔분야
잡지
출판
문화사업
월간토마토 판매처
공지사항
고객센터
질문과 답변
자주 묻는 질문
정기구독
구독하기
사이드메뉴 버튼
검색
검색
로그인
매거진 토마토
전체
사람
공간
기록
대전문화정보
문화정보
토마토와 함께
인포메이션
회사소개
매거진 토마토 소개
연혁
문화예술 나눔분야
잡지
출판
문화사업
월간토마토 판매처
공지사항
고객센터
질문과 답변
자주 묻는 질문
정기구독
구독하기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기사제보
구독신청
사이트맵
찾아오시는길
월간토마토 inc.
태그 입력
검색
태그(12건)
[3월 119호]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는_청년대전, 청년소통 '밤토'
대전시는 올해 시정의 1순위로 ‘청년정책 강화’를 택했다. 대전을 청년의 일자리, 설자리, 놀자리가 종합된 ‘청년 도시’로 만들고자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월 6일, 저녁 7시부터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중앙로캠퍼스에서 진행한 ‘청춘소통 밤토(밤새토론)’는 대전시가 청년정책…
2017-03-31
:
기록
밤토
청년
청년대전
특집
[7월111호] 자고가게 쉬었다가게
“어서 오시게” 봄N 게스트하우스 입구에 있는 그림이 손을 번쩍 들고 오가는 손님을 맞는다. 1973년 문을 연 비선여인숙 자리에 2014년 동네방네협동조합이 운영하는 봄N 게스트하우스가 문을 열었다. 봄N 게스트하우스가 있는 골목은 길 곳곳에 허름한 여인숙이나 여관, 모텔이 많았다. 근화동은 1990년대…
2016-07-31
:
도시
도시재생지원
청년
춘천
[7월 111호] 시장이 살아 있다
전통시장은 대부분 자연스럽게 생겼다. 사람이 많이 지나는 자리에 상인들이 물건을 가지고 나왔다. 물건을 가지고 나오는 사람도 많아지고, 점포도 생겼다. 몇십 년씩 그 자리에 있었다는 전통시장은 대부분 그렇게 생겼다. 자연스럽게 생긴 만큼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특별히 주목하거나 공간으로서…
2016-07-14
:
시장
청년
청년시장
태평시장
[6월 110호] 우리는 계속 다르게 살고 싶다
다른 걸 생각할 만한 틈을 주고 아이엠궁, 조선그루브, 반지하멜로디, 대전대학생문화기획단, 대전아트프리마켓, 청춘메세나, 청년고리 등 비슷하면서 다른 청년 단체가 생겼다. 활동을 중단한 단체도 있고, 활동을 지속하는 단체도 있다. 현장에서 자주 만나던 청년들은 어떤 때면 함께 일하는 동료처럼…
2016-06-15
:
6월특집
청년
청년정책아이디어콘퍼런스
청춘올라
[6월 110호] 고구마 백 개 물 없이 드실 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어야 바뀔까 이 말에는 이미 많은 사람이 죽었으며 이제 무언가 바뀌어야 한다는 두 가지 뜻이 담겨 있는데 궁동 카페에서 한 친구의 인터뷰 명목으로 만나 대학생 넷이서 수다를 떨다가 인터뷰어도 인터뷰이도 나도 아닌, 나머지 한 명 입에서 나온 말이고, …
2016-06-02
:
고구마백개
답답한이야기
서한나
청년
[9월 101호]
청년의 일자리는 문제다. 취업하기도 어렵고 사회에서 흔히 좋다고 말하는 직장을 잡기는 더 어려운 현실이다. 현 정부도 청년의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했는지 2013년, 대통령 직속으로 청년위원회를 출범했다. 청년위원회는 ‘청년세대가 다양한 꿈과 재능을 발휘하고 도전정신을 가진 창조경제의…
2016-03-18
:
창업
청년
청년과창업
[9월 101호] 꿀벌의 노래, Bee-park
“친구를 만난다는 것과 스케줄러는 아무 상관 없는 시절이 있었다. 그냥 학교에 가면 됐다. 아침부터 점심 도시락을 까먹고 있는 녀석, 쉴 새 없이 떠들고 있는 녀석, 아침 댓바람부터 이어폰으로 분위기를 잡고 있는 녀석과 야한 잡지를 뺑 둘러싼 녀석들까지. 그냥 녀석들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었다.…
2016-03-18
:
Bee-Park
쉐어하우스
청년
[9월 101호] 청년,독립을 말하다
‘독립’의 사전적 정의는 네 가지다. ①다른 것에 예속하거나 의존하지 아니하는 상태로 됨. ②독자적으로 존재함. ③개인이 한 집안을 이루고 완전히 사권(私權)을 행사하는 능력을 가짐. ④한 나라가 정치적으로 완전한 주권을 행사함. 비슷한 말로는 자주, 자립, 자활, 존립 등이 있으며 반대말로는…
2016-03-08
:
독립
청년
[9월 101호] 청춘 길들이기 노력하면 성공한다!
기사머리글 청년이 ‘화두’다. 복지, 일자리 등에서 노년층과 자리다툼을 하고 세대 간 갈등의 불씨였던 청년 문제가 변방에서 돌아왔다. 그러나 그들은 피지도 못한 채 ‘사회적 약자’가 되어 돌아왔다. “우리 때도 살기 팍팍했지만 지금 20대를 보면 속상하다. 청춘이 빛나고 아름다워야…
2016-03-08
:
경쟁
대전시민아카데미공개토론회
우리는차별에찬성합니다
청년
청춘길들이기
청년이 만들고 청년이 외치는 창
당연히 아마추어이고, 허접하고, 쓸모없는 고집이 난무할 것이다. 그걸 모르는 게 아니다. 그래도 하지 않는 것보다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고 싶은 말을 꼭 숨기고 사는 것보다는 할 수 있는 장을 만들 것이다. 한 번에 그치는 게 아니라 지속해서 만들고 싶다. 나뿐만 아니라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을 행동으로…
2016-01-28
:
DAF
김한솔
대전아트플리마켓
문화활동가
사람
인터뷰
청년
[1월 105호] 19살은 0살이다
20대 초반에는 한 살 한 살 먹을수록 달라진다고 하던데 사실인가 보다. 스무 살과 스물한 살 때가 다르고 스물셋과 스물넷이 다르다. 잠이 많아지고 술이 안 깨는 걸 말하는 게 아니다. 뭐랄까. ‘속’이 생겼다. 스무 살도 더 전에는 서일 여자고등학교에 다녔는데 그땐 아무 생각이 없었다.…
2016-01-21
:
19살은0살이다
서한나
청년
청년말하다
칼럼
[12월 104호]잡지의 미래를 묻다
월간 토마토 가까이에서, 같은 종이라는 매체 위에서 고군분투하는 20대 청년들을 만났다. 이들이 바라보는 종이 잡지의 미래는 어떨까 궁금했다. 현재까지 4호를 낸 의 서한나 편집장과 김소현 대표, <동립진> 발행을 준비하는 김동욱 씨를 만났다. 이들은 각기 다른 욕망과 무게로 잡지를 만들고 있었지만,…
2016-01-04
:
김동욱
김소현
동네
동립진
보슈
서한나
잡지
잡지의미래를붇다
지역잡지
청년
특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