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일자 :
2023-03-07 11:19
유틸메뉴
lock_outline
perm_identity
search
검색
메인메뉴
펼침메뉴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메뉴를 클릭 해 주세요
매거진 토마토
전체
사람
공간
기록
대전문화정보
문화정보
토마토와 함께
인포메이션
회사소개
매거진 토마토 소개
연혁
문화예술 나눔분야
잡지
출판
문화사업
월간토마토 판매처
공지사항
고객센터
질문과 답변
자주 묻는 질문
정기구독
구독하기
사이드메뉴 버튼
검색
검색
로그인
매거진 토마토
전체
사람
공간
기록
대전문화정보
문화정보
토마토와 함께
인포메이션
회사소개
매거진 토마토 소개
연혁
문화예술 나눔분야
잡지
출판
문화사업
월간토마토 판매처
공지사항
고객센터
질문과 답변
자주 묻는 질문
정기구독
구독하기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기사제보
구독신청
사이트맵
찾아오시는길
월간토마토 inc.
태그 입력
검색
태그(11건)
[10월 126호] 과학의 도시를 예술에 오롯이 담을 수 있을까
아티언스 대전 2017 - 과학의 도시를 예술에 오롯이 담을 수 있을까 원도심 일대가 예술과 과학의 만남으로 풍성해졌다. 지난 15일부터 시작한 아티언스 대전이 30일 폐막 공연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다. 과학의 도시라 불리는 대전의 특징을 예술로 승화한 아티언스 대전은 대전문화재단이 매년 심혈을 기울여…
2017-09-29
:
2017
과학
대전
도시
아티언스
아티언스대전2017
예술
[7월 111호] 둥지 튼 왜가리 옹색한 나무 위에
머리글 선화초등학교에 자라는 히말라야시다는 유독 키가 컸다. 매일 보는 대전여자중학교 운동장의 히말라야시다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어렸을 때부터 가지치기를 해서 관리해 줬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 이렇게 키만 컸어요. 자칫 바람이라도 세게 불면 넘어갈 수도 있어요.” …
2016-07-31
:
공존
도시
선화초등학교
왜가리
[7월111호] 자고가게 쉬었다가게
“어서 오시게” 봄N 게스트하우스 입구에 있는 그림이 손을 번쩍 들고 오가는 손님을 맞는다. 1973년 문을 연 비선여인숙 자리에 2014년 동네방네협동조합이 운영하는 봄N 게스트하우스가 문을 열었다. 봄N 게스트하우스가 있는 골목은 길 곳곳에 허름한 여인숙이나 여관, 모텔이 많았다. 근화동은 1990년대…
2016-07-31
:
도시
도시재생지원
청년
춘천
[7월 111호] 춘천은 여름도 봄이지
춘천시 도시재생선도지역 | 춘천이라는 도시는 많은 예술가의 작품에 등장한다. 유안진 시인은 <춘천은 가을도 봄이지>라는 제목의 시로 도시에 관한 느낌을 표현하기도 했다. 고속도로를 지나 들어서는 순간 역시 그럴듯했다. 고요하고 정적이면서 도시 전체에 물결이 잔잔잔 흐르는 것 같은 묘함이…
2016-07-31
:
도시
도시재생지원센터
번개시장
춘천
[7월 111호] 오랜 세월 틈새에 끼어든 낯선 '고요함' 심례문화예술촌
1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중심지는 번잡했다. 필시 전통 5일장이 서는 날이라 생각했다. 일상적으로 열리는 장은 5일 간격으로 어김없이 몸집이 불어난다. 3일과 8일이 들어가는 날이다. 삼례읍은 전형적인 시골…
2016-07-15
:
도시
삼례문화예술촌
삼례읍
완주
전라북도
[6월 110호] 밑그림은 신중하게 그릴것
대전의 화두 중 하나인 ‘원도심 활성화’는 최근 몇 달간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됐다. 대흥동 일대의 문화예술 공간 몇이 문을 닫거나 이사하게 된 것을 걱정하며 대전시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그러한 바람을 수용했는지 대전시는 최근 원도심의 젠트리피케이션…
2016-06-14
:
대흥동
도시
옛성산교회
젠트리피케이션
중앙동센터
[6월 110호] 광주에서만난 빛,문화,시민
도시재생 현장 광주 ‘5월에 방문할 도시’는 광주인가 보다. 작년 5월에는 개관 전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5.18 전야제에 다녀왔다. 올해 5월에는 개관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광주의 도시재생 현장에 다녀왔다. 옛 전남도청 터 지하에 자리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둘러보고, 구도심…
2016-06-13
: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도시
시티
[6월 110호] 도시 풍경 안에 녹아든 '메시지'를 만나다
#.01 골목을 걸었다. 비가 내린다는 예보를 확인했다. 혹시 몰라 작은 우산을 준비했다. 대문 밖을 나서자마자 빗방울이 떨어졌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비는, 인적에 놀란 참새 떼가 한꺼번에 날아오르는 소리를 냈다. 그 소리는 금방 멈춰 버렸다. 그 모양새가 묵직한 상대에게 짧은 잽을 뻗었다가 바로…
2016-06-08
:
도시
메시지
[8월 100호] 살고 싶은 도시 · 마을, 그리고 아트 폴리스를 찾아서
‘도시’는 토마토 관심목록 1호다. 이제 ‘도시’는 거주하고 일하는 단순한 ‘공간’의 개념을 넘어서 삶의 질 전반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위다. 우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진행하는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프로젝트나 이에 훨씬 앞서 진행한 일본의 ‘구마모토현 아트폴리스…
2016-05-11
:
공간
도시
아트폴리스
월간토마토
[6월 98호] '누가'에 이어 '어떻게'를 고민할 때
지난 5월 27일, 사회적기업 ㈜공감만세 4층 교육장에서 제8회 원도심, 공간의 재발견 포럼이 열렸다. 이번 포럼에서는 옛 충남도청사 활용 방안을 시민이 이끌어내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가 오갔다. 먼저, 사회적자본지원센터 강영희 센터장이 커뮤니티플래닝을 통한 충남도청사 활용 방안에 관해…
2016-05-03
:
도시
원도심
의견
포럼
[4월 108호] 특집_도시는 누구의 것인가 걷기 좋은 중앙로를 바라며
대전역에서부터 옛 충남도청사까지 1.1km의 중앙로를 한 번이라도 걸어 보면 알 수 있다. 걷기 좋은 길이 아니라는 것을 말이다. 지상으로만 걸어서는 1.1km 구간을 바로 지날 수 없고 지하를 통해야 하는데, 또 지하로만 걷는 것도 불가능하다. 대전천이 흐르는 지점에서 지하상가가 끊겼다 다시 시작되기…
2016-04-19
:
도시
원도심
중앙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