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125호] 인간은 무엇이며, 무엇이 될 수 있으며, 무엇이...
오늘날, 지구에서 인간은 소멸 중이다. 신을 닮은 피조물이었고 만물의 척도이자 지배자로 지구에 군림해 오던 그 인간, 즉 ‘휴먼(Human)’이라고 불리던 존재가 사라지고 있다. 대신 지금은 포스트휴먼이란 존재가 ‘새로운 인간’으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호모 사피엔스들은 사실상 이미 포스트휴먼이라고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최근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이런 역사적 흐름이 반영된 것이다.
포스트휴먼이 철학과 과학의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이 시대가 기술과학의 시대인 탓이다. 현대 기술과학은 인간의 신체를 조작과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만들고 있다. 과거엔 생노병사, 성별, 지능과 재능, 성격, 이 모든 것이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었고 변경 불가능한 숙명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탄생에서부터 유전형질, 수명, 노화, 심지어 죽음에까지 과학이 개입하기 시작했다. 인간의 생애 전반, 그리고 신체뿐 아니라 나아가 정신적인 요소들에까지 과학기술이 개입하는 것이다.
더 결정적인 문제가 있다. 오늘날 만일 인류가 원한다면 인간이라는 생물학적 기계를 만드는 유전적 설계도 자체를 재설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인류는 기술이라는 인공적인 힘을 빌어 다른 종으로 진화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 것이다!
“인간은 무엇이며, 무엇이 될 수 있으며,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호모 사피엔스가 발명한 그 모든 신화와 종교, 철학, 예술, 심지어 과학까지도 궁극적으로는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몸부림이지 않을까? 과거에 이 질문은 그저 어떤 삶이 좋은지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였고 종교와 철학이 거기에 답을 주었다. 그러나 21세기에 이른 지금은 과거와 달리 매우 현실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사피엔스》라는 책의 저자 유발 하라리도 21세기 현실이 직면하고 있는 이런 상황을 지적하고 있다. 그는 “글로벌 경제위기, 테러단체 ‘이슬람 국가’ 남중국해의 긴장 등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긴 하지만 그 중요성은 ‘인간 강화’라는 문제와 비교하면 새 발의 피다”라고 쓰고 있다.
또 오늘날, 기술의 가속적인 발달은 인공지능과 로봇의 형태로 발전을 거듭하여 마침내 로보 사피엔스로 진화할지도 모를 단계로 접어들었다. 최근엔 레이 커즈와일 같은 미래학자뿐 아니라 스티븐 호킹 같은 과학자들조차 21세기 안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추월할지도 모르니 인류를 위해 미리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마치 영화 〈터미네이터〉에서 인류를 파멸시키려 드는 스카이넷 같은 것이 인공지능 진화의 궁극적인 모습인 양.
또 다른 한편으로는, 만일 의식을 가진 로봇이 나타난다면 인류는 그들에게 어떤 인격권을 부여해야 하는가, 그들의 법적 도덕적 지위는 어떻게 되는가,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런데 과연 인공지능은 지적인 면에서 인간을 정말로 추월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은 정말로 의식과 신적인 지능을 가진 소위 ‘초지능’이 될 수 있고, 또 그런 존재는 인류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을까? 이 책에서는 ‘지능’ 과 ‘의식’에 대한 탐색을 통해 그러한 ‘인공지능 위험론’에 많은 오해와 과장이 뒤섞여 있음을 주장한다.
사실 인공지능의 발달은 앞서 말한 문제, 즉 인간은 무엇이 될 수 있고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라는 문제와 직접 연관되어 있다. 케빈 워릭 같은 로봇 공학자는 인공지능과 로봇에게 추월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인간도 과학기술과 더욱 깊이 결합하여 뛰어난 사이보그로 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선 사이보그가 되어야 할까? 아니, 차라리 유전공학을 이용해 지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더 뛰어난 신인류가 되는 건 어떨까?
소위 트랜스 휴머니스트라고 불리는 일군의 사람들은 바로 그런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과학기술의 막강한 힘을 이용하여 인간의 육체적 지적인 능력을 ‘강화’하길 원하며, 더 나아가서는 불로장생을 넘어 아예 불멸하는 신적인 존재로 진화하길 원한다. 이 책에선 그런 트랜스 휴머니스트들의 기획과 현재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사례들을 비판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수명연장이나 지능향상 기술, 맞춤아기, 인공자궁, 그리고 21세기의 가장 큰 산업이 될 안티에이징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늙지 않고 병들지 않고 오래도록 청춘으로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인가? 거기엔 어떤 도덕적이거나 심리적인 문제가 있는지도 우리는 살펴보아야 한다.
생명공학과 인공지능 기계공학의 발달은 우리로 하여금 근원적인 인문학의 질문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가? 앞으로 계속 현재와 같은 인간으로 머무를 것인가, 아니면 기술을 이용한 인간 향상을 기술이 허용하는 한, 계속 추구해야 할 것인가? 인간의 몸과 마음에 대한 유전적 개입이나 변형은 어디까지 허용해야 하는가? 또는 의식적으로 유전자를 재설계하여 신인류로 진화하는 것이 좋은가? 인간과 로봇의 관계, 인간과 기술의 공생 협력관계는 어떻게 만들어 갈 수 있는가? 포스트휴먼으로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고, 어떤 삶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사실 이런 모든 문제들은 지극히 복잡하고 난해하다. 그러나 그만큼 또 흥미진진한 탐구 주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책은 전문 이론서가 아니다. 21세기 인류에게 닥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삶과 사회적 변화에 관해 일반 독자들이 쉽고 재미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가이드북이다. 이 책을 읽으면 지금 세상이 얼마나 빠르게 변하고 있는지, 이런 사회에서 살기 위해선 무엇을 준비하고 고민해야 하는지를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원래 내가 건국대 연구소와 함께 이 책을 기획한 건 2년 전이었는데, 게으름을 좀 부리다 이제야 책이 나왔다. 이 책 속의 인공지능과 사피엔스의 미래에 관한 두 꼭지를 집필했다. 독자들이 나의 비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 자못 궁금하다.
《지구에는 포스트휴먼이 산다》
(몸문화연구소 지음, 필로소픽,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