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115호]비너스 루킥 세상바라보기
원도심 내 미술 공간에서 종종 작가 비너스 루킥의 작업을 만날 수 있다. 비너스 루킥에게는 일상의 모든 것이 작업의 소재이자 재료가 되고 작업은 결과이면서 과정이다. 그리고 다른 이와 소통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
부산에서 청주로 대전으로
캐나다에서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작가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을 하던 비너스 루킥은 2010년 한국, 부산행을 택했다. 당시 한국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일이 캐나다 내에서 광고가 잘돼 있었다. 교사라는 직업에 창의적인 면이 있다고 생각했고 이 점이 예술과 통한다고 생각했다. 교사 일을 하며 한 매거진에서 부산의 문화공간 ‘아지트’를 알게 됐고 그곳에서 비너스 루킥에게 작업실을 내어 줬다. 그렇게 자연스레 한국에서 다시 작업을 시작했다.
‘CCTV와 십자가, 산이 많은 도시’, 비너스 루킥이 처음 접한 부산의 인상이다. 어쨌든 부산은 좋은 도시였고 한국에 계속 머물기로 했다. 2011년에는 청주의 ‘653 예술상회’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초대돼 일주일간 청주에 머물렀다, 당시 레지던스 작가로 있던 진희웅 작가를 만나 결혼했고 그의 가족이 사는 대전으로 사는 곳을 옮겼다. 2014년이었다.
DAC(Daejeon Art Collective)라는 외국인 작가 그룹으로 활동하며 스페이스 씨의 레지던스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 출산 이후 힘든 시간을 보내던 때였지만 작업은 멈출 수 없었다. 스페이스 씨에서는 모유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레지던스 이후에는 DAC의 몇 명과 함께 갤러리를 운영하다 건물이 없어지면서 접게 됐다. 그리고 올해는 아트스페이스 장의 레지던스에 참여해 다양한 작업 활동을 펼쳤다.
한 외국인 작가의 시선
1
Oil paint on canvas, 2016, with I.F.Haddock
비너스 루킥은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다. 작업의 주제는 항상 바뀌지만 여성으로서, 최근에는 외국인으로서 느끼는 바가 작업에 자연스레 녹아든다. 한 번쯤, 관객들에게 자신을 돌아보게 만들면서도 실소를 유발한다.
2011년 진행한 ‘Gold Leaf Project’는 일상에 파묻혀 주위를 살피거나 뭔가를 발견할 겨를 없이 바쁘게 지나가는 사랍들에게 보내는 하나의 메시지였다. 떨어진 나뭇잎에 금색 스프레이를 뿌려 해 진 이후에 거리에 깔아 두었다. 아침이 되고 출근하는 사람들은 무심히 거리를 지나치고 또 어떤 사람들은 금색 잎을 주워 모으기도 했다.
2012년에는 진희웅 작가와 함께 ‘Our Wedding Performance Project’를 진행했다. ‘부모님이 뿌린 돈을 회수하려는’ 이유로 웨딩홀을 빌려 결혼식을 하는 결혼 방식에 대해 비평적 시각을 보여 준 작업이다.
2014년 스페이스 씨 레지던스에서 모유 프로젝트로 진행한 ‘Self Help Performance’는 말 그대로 스스로 위안의 말을 적는 퍼포먼스였다. 비너스 루킥이 바라본 한국 사람들은 개인적이며 정신적인 부분을 잘 얘기하지 않았고 이 점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공동 작업에도 관심이 많다. 캐나다에서 활동하면서도 협업 작업을 한 경험이 있고 현재도 다른 작가들과 페인팅 등에서 협업한다. 그 과정에서 많은 고민을 이어 간다. 또한, 그녀의 작업에서는 관객과의 관계도 중요한 부분으로 드러난다. 관객과 관계 맺기를 통해 작업이 완성되기도 한다. 비너스 루킥은 글쓰기에도 관심이 많다. 글쓰기 모임에 참여하고 있으며 아트스페이스장 레지던스 활동을 하며 모임 사람들과 함께 시나리오를 만들어 연극을 올리는 작업도 했다.
2
2012, With 진희웅
11월 중순 아트스페이스장 레지던스의 오픈스페이스 행사를 마지막으로 올해 아트스페이스장 레지던스 활동은 마무리된다. 내년에는 캐나다 몬트리올에 가서 석사과정과 작업 활동을 이어 갈 예정이다. 한국에 있을 때는 캐나다에서 온 외국인 작가였지만, 이번에 몬트리올에 가면 한국에서 온 작가로 알려질지도 모른다.
글 사진 성수진,비너스 루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