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87호] 맨발로 전하는 이야기
 
깜깜한 무대 위 등을 보이고 선 남자. 한 손으로 반대쪽 팔목을 부여잡는다. 천천히 움직이다 갑자기 앞으로 고꾸라지듯 춤을 추기 시작한다. 어깨를 쥐었던 손을 천천히 무릎으로 내린다. 자기 몸이 아닌 다른 사람의 몸을 탐색하듯 어색하고 불편하게 몸을 만진다.
한 여자가 바닥에 주저앉아 바닥을 더듬거린다. 어디를 응시하는지 알 수 없는 그녀의 눈. 여자는 무대 위를 엉금엉금 기다 바닥을 짚고 일어선다. 엉덩이를 빼고 앞으로 쭉 뻗은 두 팔, 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처럼 불안한 몸짓으로 무대를 누빈다.
남자가 여자에게 다가선다. 여자를 보호하듯 여자의 등 뒤에서 그녀의 발걸음을 쫓는다. 바닥에 쓰러진 여자 옆으로 남자도 함께 쓰러진다. 남자는 여자를 다시 일으켜 세운다. 마치 한 몸인 것처럼 춤을 추는 두 사람. 적막이 흐르는 무대는 두 남녀의 숨소리와 ‘지익- 지익-’ 맨발과 무대가 마찰하는 소리로 가득하다.
음악이 흐른다. 리듬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두 남녀는 전혀 아름답지 않다. 처절한 몸부림만 있을 뿐이다. 두 사람의 춤사위는 처절함을 넘어 비장하기까지 하다. 절정을 향해 치닫던 몸짓이 점차 부드러워진다. 남자는 여자의 얼굴을 여자는 남자의 얼굴을 어루만진다.
6월 14일 토요일 저녁 6시 서구문화원에서 메타댄스프로젝트(MATA DANCE PROJECT)의 공연이 열렸다. 세 개 이야기가 무대에 올랐다. 각기 다른 내용의 이야기이지만 그 중심에 인간이 있다. 인간의 소통, 노동, 본질에 대해 답을 구하는 몸짓. 70분간 맨발로 전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첫 번째 이야기는 ‘Black’이라는 제목으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소통에 대해 말한다. 무대 위 무용수는 우리가 서로에게 어떤 존재인지 묻는다. 누군가를 만나고 대화하며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을 춤과 몸짓로 풀어냈다. 서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주는 상처와 거친 표현이 몸짓으로 드러난다.
두 번째 이야기는 ‘바다’를 배경으로 인간의 노동에 관해 말하는 ‘소금꽃 이야기#2’이다. 햇볕이 내리쬐는 염전은 아름답다. 하얀 소금 꽃이 반짝반짝 빛난다. 아름다운 염전 위 고된 노동에 지친 염부가 있다.
‘염전에서는 뼈가 녹는다.’라고 말할 정도로 고된 염전 일을 우리 삶에 비유했다. 끊임없이 일하고 갈구하는 모습은 염전 위 소금을 얻기 위해 일하는 염부와 같다. 이야기가 클라이맥스에 다다랐을 때 무대 위에 흩뿌려지는 하얀 소금, 그 위에서 춤을 추는 그들은 소금을 원하는 염부이기도 하지만 우리이기도 하다.
공연은 ‘무엇을 얻기 위해 우리는 그토록 고되게 일하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원하던 것을 손에 넣었을 때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이었을까?’라는 의구심에 들었던 적은 없는지 떠올리게 한다.
마지막 이야기는 카프카의 희곡 ‘변신’을 모티브로 전개한다. 작은 벌레로 변해버린 그레고르는 한 집의 가장에서 순식간에 치워버리고 싶은 귀찮은 존재가 된다. 죽어가는 순간까지도 살고자 발악하는 벌레 그레고르를 모른 척 외면하는 가족은 다시 서로 손가락질한다.
“나는 거울 속의 나를 보지 않는다. 거울 속의 내가 나를 응시한다.”
무대에 울려 퍼지는 대사가 왠지 ‘나는 누구인가? 가족이란 무엇이고 집이란 무엇인가.’ 하고 묻는 듯하다.
![]()
![]()
![]()
![]()
메타댄스프로젝트(MATA DANCE PROJECT)는 대전을 기반으로 한 현대무용팀으로 2001년 창단해 꾸준히 활동해왔다. 2014년 대전 서구문화원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일반인이 현대무용을 좀 더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