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112호] 바람이 불면 쌀알이 흩어지던
 
활짝 열어둔 문은 바람도, 지나가는 사람도 가는 길을 붙잡는다. 햇볕 뜨거운 주차장에 앉아 있다가 슥 들어와서 자리를 잡는 주차장 아저씨, 지나가다 “뭐 하는 곳이냐”고 물으며 들어오는 주민들, 전시장이라고 하니 머쓱해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내가 아는 풍경’이 걸린 벽을 가만히 들여다 보며 이야기 꽃을 피운다.
![]()
인동시장 한가운데에 문을 활짝 열어놓고 지나가는 사람들을 맞이하는 인동창고12호에서 지난 7월 17일부터 24일까지 물물교환 프로젝트가 열렸다. 인동에서 파는 잡곡을 곱게 갈아 만든 차가운 잡곡라떼 한 잔과 가지고 온 물건을 교환하는 프로젝트다. 어떤 물건이든 관계없다. 가지고 온 물건 중에는 신던 신발도 있고, 보던 책도 있다. 물물교환이 끝나면 잡곡과 우유를 넣어 갈아 만든 잡곡라떼를 맛볼 수 있다. 선선한 바람만 불면 시간이 어떻게 가는 줄 모르게 앉아 있을 것 같다.
![]()
벽에는 인동시장의 옛 모습이 담긴 흑백 사진이 죽 걸렸다. 인동시장에서 나고 자란 주민들의 관심사는 사진 속 인물이었다. 인물 중 하나는 누구네 아들이었고, 그시절에 있었던 건물이었고, 지금은 추억에만 있는 풍경이다. 지난 5월, 인동창고12호가 문을 열고 벽에 걸린 사진을 보던 주민들의 한바탕 고증이 오갔다. 
![]()
“편하게 주민분들이 오가는 곳은 아니에요. 그래도 가끔씩 들르는 주민 분들이 벽에 걸린 옛날 사진을 보면서 얼굴 맞히기를 하시는 게 재미있어요. 워낙 오래들 이곳에 계셔서 옛날 사진이어도 다 아는 사람이더라고요. 작은 프로젝트를 하나씩 하면서, 올 가을에는 1년간 했던 것을 모아서 마무리 전시를 열 거예요. 오늘 물물교환한 물건들도 그때 전시에 쓰일 예정이에요.”
![]()
인동창고12호 김보람 연구원의 이야기다. 대전 동구 대전천동로 450, 40년이 넘었다는 주상복합 건물 1층에 자리한 인동창고12호는 이 자리에서 인동시장을 하나둘 기록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