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101호] 건축학도들이 본 대전 원도심의 미래
한눈에 봐도 손이 많이 간 스티로폼 건물들, 파란 색종이로 이어붙인 대전천, 실핏줄처럼 얽혀있는 도로…, 대전근현대사전시관 1층, 기획 3전시실에 들어서자 하얀 공간을 채우고 있는 도시 모형이 보인다. 지난 8월 16일부터 30일까지 대전근현대사전시관(옛 충남도청)에서 ‘재생적 미래도시 디자인 ; 원도심 전’이 열렸다. 대전대학교 건축학과 임재호 교수가 총괄 기획한 이번 전시에서는 학생들이 꿈꾸는 17개의 대전 원도심을 볼 수 있었다.
원도심 전은 ‘왜 대전 원도심은 쇠퇴하였는가?’라는 오래된 질문에서 시작됐다. 하나의 질문에 관한 답은 여러 개였다. 문제 인식은 곧 도시 재생의 키워드 역할을 했다.
“과거 중심지 역할을 했던 대전역 주변이 쇠퇴한 이유에 관해 의문을 가졌어요. 그 결과 대전역에 더는 사람이 모이지 않기 때문이란 것을 알게 되었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예술공간, 공원, 공연장 등 사람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전시에 참여했던 대전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 김나연 학생은 대전 원도심 쇠퇴의 원인을 문화공간 부족에서 찾았다.
전시에 참여한 서른 명 정도의 학생이 만든 도시는 모양도 문제의식도 달랐다. 하지만 그들이 만든 도시에는 공통으로 관통하는 몇몇 속성이 있었다. 연결, 관계, 연속성, 유기성이었다. 이는 지금의 원도심 쇠퇴의 원인이 도시 구조의 부조화에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했다.
“현재 원도심은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용도와 기능이 무분별하게 혼재되어 공간적 특성이 흐려졌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던 공간과 새롭게 만든 공간이 조화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다시 원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신도심과 구도심, 기존의 것과 새로운 것의 연계성을 높여야 합니다.”
임재호 교수는 전시회 취지가 원도심의 ‘개발’이 아닌 ‘재생’임을 강조했다. 그가 말하는 재생은 공간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지금 저희가 전시하고 있는 대전 근현대사 전시관을 예로 들 수 있어요. 과거에는 도청의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용도를 바꾸어 시민이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이 되었지요.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가진 건물들을 쓸모없게 됐다고 허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야 합니다.”
전시 준비가 책상 위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다. 학생들은 본격적인 설계를 하기 전 현장답사와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현실적인 문제를 짚었다. 전시는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난 뒤 손으로 만든 결과였다. 이는 임재호 교수가 학생들에게 강조한 부분이기도 했다.
“건물을 짓고 부수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제가 생각한 도시 재생과는 거리가 멉니다. 지역주민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그곳에 사는 사람들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것이 먼저지요. 저는 학생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사람을 중심에 두는 인문학적 관점으로 도시를 바라보길 바랐습니다.”
원도심 활성화라는 주제로 펼쳐진 이번 전시를 보며 현재 대전시에서 진행 중인 ‘원도심 활성화’ 사업을 점검해 보게 되는 것은 당연한 절차이다. 원도심 활성화 사업의 하나로 만든 목척교 복원사업과 으능정이 스카이로드, 대흥동 골목길 재생사업 등이 ‘단발적이다.’, ‘주변 환경과 조화롭지 못하다.’라는 지적을 받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원도심 활성화는 주민들의 삶과 원도심 이외 도시와의 관계를 생각하며 진행해야 한다. 임재호 교수는 “도시를 짓는 것은 집을 짓는 것과 비슷해요. 집 한 채를 지을 때도 주변 환경,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취향을 파악하여 큰 그림을 먼저 그려야 하죠. 그런 면에서 도시 설계는 무엇보다도 여러 요소간의 유기적 연계성이 중요합니다.”라고 말했다. 전시는 필연적으로 원도심 활성화 사업이 나아가야 하는 길을 보여 주었다. 이는 학생들이 만든 도시를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